
노안의 상징, 다크써클 없애려면?!
야근하거나 하룻밤 잠을 설치기라도 하면 발등까지 내려오는 다크써클!
다크써클은 눈 주변의 얇은 피부에 푸른 정맥이 거무스름하게 비춰 보일 때 나타난다. 웃고 있어도 울고 있는 듯한 인상을 주는 주범인 다크써클은 노안의 상징이 된 지 오래다.
다크써클의 원인?! 눈 밑 지방과 색소침착, 혈관 때문
대개 다크써클은 다음 3가지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나타나게 된다.
눈 밑 지방으로 인해 다크써클이 생길 수 있다. 나이가 들면서 지방이 쌓인 경우로 눈물주머니(눈 밑 지방)가 불룩하게 튀어나와 있으면 이것이 그늘을 만들어 어둡게 보일 수 있다. 또한 눈 밑 지방으로 인해 색소침착이나 피하 혈관의 확장 등이 더욱 두드러져 보이게 된다.
색소침착으로도 다크써클이 생길 수 있다. 유전적인 영향이나 전신 질환을 앓고 난 후 혹은 외부적인 요소(과다한 일광 노출이나 호르몬제의 복용 등)에 의해 피부의 멜라닌 세포가 증가되어 있거나 알레르기나 아토피 등에 의한 염증성 질환에 의한 과색소침착이 발생한다.
눈 주위는 다른 피부와 달리 두께도 얇고 투명도가 뛰어나 눈 밑 혈관의 문제가 고스란히 드러난다. 피곤하거나 수면이 부족할 때 피하 혈관이 지나치게 확장되어 있으면 혈관이 잘 비쳐 보여 피부가 푸르게 변색되어 보인다.
이 밖에도 잘못된 세안 습관이나 계절에 따른 기온 변화, 생리 전후 등의 경우에 생길 수 있다.
다크써클 치료는 각 원인에 따라!
눈 밑 지방이 튀어나와서 눈 밑이 검게 보이는 경우에는 눈 밑 지방제거술을 받으면 좋아질 수 있다. 색소침착으로 다크써클이 생겼다면 일단 관련 피부염을 치료하고 그 후에 색소를 제거하기 위해 미백치료를 해야 한다.
눈밑 피부에 있는 정맥혈관이 늘어난 경우 깊이 있는 혈관을 치료해야 하는데, 최근에는 긴 파장의 레이저를 조사시킬 수 있는 광회춘술로 다크써클을 치료하는 방법이 있다. 1회 시술로는 효과가 크지 않고 여러 차례(5~6회 이상) 반복치료가 필요하다. 치료 효과도 혈관의 깊이나 굵기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출처: 건강을 위한 첫걸음 하이닥 (www.hido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