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료예방접종에 추가된 ‘소아폐렴구균’이란?
올해 5월 1일부터 어린이 국가예방접종에 포함되는 소아폐렴구균백신에 대한 관심이 높다. 기존 50~60만원에 달하던 폐렴구균(streptococcus pneumoniae: pneumococcus)백신 예방접종이 무료로 실시됨에 따라 가계의 경제부담이 줄어드는 것은 물론 감염예방 효과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 폐렴구균이란?
폐렴구균은 급성 세균감염 질환의 원인 중 하나로, 현재기준 약 90여가지의 혈청형으로 구분된다. 따라서 한 가지 혈청형에 감염되더라도 다른 혈청형에 대한 면역성이 생기는 것은 아니므로 접종대상이라면 폐렴구균에 의한 질환을 앓았다 하더라도 예방접종이 권고된다.
모든 혈청형이 질환을 일으킬 수 있지만 약 10여 가지의 흔한 혈청형이 균혈증(세균이 혈액에 들어가 순환하는 것), 수막염 등의 침습 폐렴구균 감염증의 원인 중 약 60%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폐렴구균에 의한 감염은 비침습성 감염(부비동염, 중이염, 폐렴 등)과 침습성 감염(수막염, 균혈증 등)으로 구분되며, 소아의 경우 급성 중이염과 침습성 감염이 가장 흔하게 나타난다. 물론 폐렴구균에 의한 감염은 예방접종을 통해 줄일 수 있다.
상기도에 있는 폐렴구균은 직접 접촉이나 기침, 재채기로 전파되며 감염시 성인에서는 폐렴이, 소아에서는 중이염, 부비동염, 폐렴, 패혈증 등이 흔히 나타난다.
치료로는 페니실린의 내성 정도와 감염부위를 고려하여 항생제 치료를 시행하게 된다.
◆ 소아폐렴구균 예방접종 대상과 시기
소아폐렴구균 예방접종 대상은 생후 2개월에서 59개월까지의 소아이며 접종시기는 생후 2 4, 6개월에 각각 3회 기초 접종을 받은 후 생후 12~15개월 사이에 1회 추가접종을 받으면 된다. 접종위치는 영유아는 대퇴부 전외측(허벅지 바깥부위), 소아는 상완 삼각근(팔꿈치 위쪽 팔뚝 부위)에 근육주사로 시행하게 된다.
만약 초기 예방접종 시기를 놓친 경우에는 의사의 지시에 따라 접종 횟수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건강한 60개월 이상의 소아에게는 소아폐렴구균 예방접종이 권장되지 않는다.
하지만 겸상구 빈혈, hiv 감염, 기타 면역저하 상태, 인공와우 이식, 뇌척수액 누출 등 폐렴구균 감염 위험이 높은 6~18세 소아청소년의 경우 pcv13(프리베나13주) 1회 접종을 고려할 수 있다.
▲ 접종시작연령별 소아폐렴구균 접종일정
소아폐렴구균 백신은 dtap, 폴리오, 인플루엔자 백신 또는 다른 백신과 같이 동시에 접종할 수 있다. 백신 함유 성분이나 이전 접종 후 심각한 알레르기 반응이 있었던 경우에는 소아폐렴구균 접종이 금기되며, 중등도 이상의 급성질환을 앓고 있는 경우에는 회복될 때까지 접종을 연기한다.
① 접종시작연령이 7~11개월인 경우:
1개월 간격 2회 접종, 3차 접종은 생후 12개월 이후에 2차 접종과 최소 8주 간격을 두고 접종
② 접종시작연령이 12~23개월인 경우:
최소 8주 간격으로 1회 접종
③ 접종시작연령이 24개월 이상인 경우:
pcv10(신플로릭스)은 최소 2개월 간격으로 2회 접종, pcv13(프리베나13주)은 1회 접종
▲ 소아폐렴구균 예방접종 후 발생 가능한 이상반응
① 접종부위의 통증, 부종, 발적 등의 국소반응.
(국소반응은 기초접종을 받은 영아보다 12개월 이상의 영아 및 소아에서 흔히 보고됨)
② 발열, 보챔 등의 전신반응
③ 심한 알레르기 반응과 같은 중증 이상반응은 매우 드물게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짐
소아폐렴구균 예방접종은 국가예방접종 지원 사업에 참여하는 전국의 약 7천여 지정의료기관에 한해 주소지에 관계없이 무료 접종을 받을 수 있으며, 해당 의료기관 정보와 폐렴구균 예방접종내역은 예방접종도우미(nip.cdc.go.kr) 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하다.
<참조 = 질병관리본부 예방접종도우미>
출처: 건강을 위한 첫걸음 하이닥(www.hido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