콤플렉스의 사전적 정의는 현실적인 행동이나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무의식의 감정적 관념이다. 대개 열등감과 함께 연상되지만, 콤플렉스가 항상 부정적이고 불쾌한 감정반응을 일으키는 것은 아니며 희로애락과 같은 모든 감정작용과 연관될 수 있다.
콤플렉스는 반드시 없애야 하는 것도 아니고 또 그렇게 하기도 어렵기 때문에 콤플렉스를 이해하고 그 힘을 긍정의 에너지로 바꿔나가려고 노력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심리학에서 소개하는 콤플렉스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살펴봤다.
▲ 타인의 판단에 의존하는 “착한 아이 콤플렉스”
‘착한 것’은 ‘말을 잘 듣는 것, 좋은 것’이며, ‘착하지 않은 것’은 ‘말을 안 듣는 것, 나쁜 것’으로 규정하여 자신보다는 타인의 판단에 절대적으로 의존하게 되는 것이 ‘착한 아이 콤플렉스’다.
어린이가 ‘착하지 않으면 사랑받을 수 없다’는 강한 믿음과 두려움에 지배당하다가 고착화되어 어른이 되어서도 ‘타인의 관점’을 기준으로 착하게 행동하는지를 계속 확인한다. 타인의 말이 판단 기준이 되기 때문에 남의 눈치를 보고 남의 요구에 순종적으로 행동하는 반면 자신의 욕구는 억눌려 있기 때문에 내면은 위축되어 있고 우울한 감정에 둘러싸여 있다.
착한 아이 콤플렉스가 있는 어린이는 어른의 요구를 쉽게 거절하지 못해 어린이 범죄 대상이 되거나, 남의 판단 기준에 의해서만 자신을 평가하기 때문에 자아를 잃고 소극적인 삶을 살거나 극단적으로 파괴적인 행동을 하는 사람이 될 수 있다.
▲ 단점이나 약점을 감추려는 보상심리 “나폴레옹 콤플렉스”
키가 작거나 사회적 지위, 학벌 등이 낮은 사람들이 그에 대한 보상심리로 더 공격적이고 과장된 행동을 하는 것을 ‘나폴레옹 콤플렉스’라 한다.
외모나 가문이 보잘것 없었던 나폴레옹이 부족한 것을 보상하고 해소하려는 끊임없는 욕구를 실현 한데서 ‘나폴레옹 콤플렉스’라 명명되었다.
자신의 단점이나 약점을 감추기 위한 보상심리도 더 큰 지배욕을 발산함으로써 폭력적이거나 욕을 하는 등 거친 성격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 뭐든지 너무 완벽하게 수행하려는 “슈퍼우먼 콤플렉스”뭐든지 자신이 맡은 역할을 최선을 다해 완벽하게 수행하려는 것을 ‘슈퍼우먼 콤플렉스’라 한다.
일도 하면서 아이 양육에 가사까지 책임지며, 몸매 등 자기관리에도 철저하다. 여성이 아내, 어머니, 며느리, 딸, 직업인 등 자신이 가진 타이틀을 모두 완벽하게 수행하려는 데서 비롯되지만, 자신은 정작 쉴 틈 없이 바쁘고 힘든 생활을 하게 된다.
자존심과 오기로 주부 스스로 본인에게 쉴 틈을 주지 않고 바쁘게 괴롭힌다. 이 세상에 완벽한 사람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포기할 줄도 알고 부담을 나눠 가지는 등 자신에게 관대하고 여유를 줄 필요가 있다.
▲ 외모에 대한 불만으로 성격도 변하는 “외모 콤플렉스”자신의 외모에 불만을 느끼는 외모 콤플렉스.
외모에 대한 콤플렉스가 대인 기피증이나 사회성 부족, 소극적인 성격 등으로 이어질 정도로 삶에 영향을 끼치기도 한다.
로보트 태권 v라는 만화영화에서 악당으로 묘사되는 카프박사는 천재적인 능력에도 키가 작고 못생겼다는 이유로 학회에서 무시당하고 등 떠밀리는 등 외모 콤플렉스로 인해 붉은별 군단을 만들어 세계를 공격하는 악당으로 등장한다.
낮은 자존감 등으로 비롯되는 자기혐오는 자신을 사랑하거나 아끼지 않는 심리로 극단적인 거식증으로 인한 저체중이나 과식으로 인한 고도비만, 외모를 꾸미거나 돌보지 않는 형태로 나타나 외모 콤플렉스로 이어지기도 한다.
현대에서는 외모 콤플렉스를 벗어나는데 미용성형술이 도움이 될 수 있다. 나이 들고 어두운 인상을 만드는 주름이 걱정이라면 근육을 일시적으로 마비시켜 주름을 개선시키는 보툴리눔 톡신 시술을 받는 것도 도움이 된다.
출처: 건강을 위한 첫걸음 하이닥
(www.hido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