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종합검진센터
  • 인공신장센터
  • 물리치료센터
  • 투석혈관관리센터
  • 내시경센터
  • 홈
  • 로그인
  • 회원가입
  • 비급여항목안내
  • 사이트맵

사랑과 감동을 드리는 광양사랑병원로고

  • quick
  • 의료진소개
  • 진료과안내
  • 진료시간
  • 층별안내
  • 찾아오시는길
  • 상담하기
  • 대장내시경검사방법동영상
  • 위로

진료시간-광양사랑병원 진료시간안내입니다.

종합검진 진료시간

대표번호-061.797.7000

칼럼

제목

'눈다래끼', 습한 여름철 개인위생 신경써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내용에 따르면 ‘눈다래끼’ 질환의 진료 환자수는 2006년 130만5천명에서 2010년 161만4천명으로 최근 4년 동안 연평균 5.5%가 증가하였다.

‘눈다래끼’ 질환으로 진료를 받은 여성은 전체 진료환자의 58.8%, 남성은 41.2%이며, 최근 4년 동안 남성은 2006년 56만4천명에서 2010년 66만5천명으로 연평균 4.2%가 증가하였고, 여성은 2006년 74만1천명에서 2010년 94만9천명으로 연평균 6.4%가 증가하였다.

최근 4년 동안 ‘눈다래끼’ 질환으로 진료를 받은 환자의 진료비는 연평균 8.2%, 급여비는 7.5% 증가하였으며, 총 진료비와 급여비 모두 2006년 대비 2010년은 약 1.4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0년을 기준으로 인구 10만명당 ‘눈다래끼’ 질환으로 진료를 받은 남성은 9세 이하(3,906명) > 10대(3,698명) > 30대(2,687명) 순이고, 여성은 10대(7,158명) > 20대(6,218명) > 9세 이하(4,790명) 순으로 조사되었다. 성별로 보면 60대~80대 이상을 제외하고는 남성보다 여성이 많이 진료를 받는 것이 특징적이었다.

또 시도별 ‘눈다래끼’ 질환 인구 10만명당 진료 환자를 분석한 결과, 전북이 3,820명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대전 3,759명, 제주 3,628명 순이었고, 경북은 진료환자가 2,746명으로 가장 적었으며, 대구 2,853명, 부산 3,028명, 강원 3,046명 순으로 환자 수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안과 박종운 교수는 여름철 눈다래끼 질환 증가원인으로 휴가로 인한 야외활동이 많고 그로 인한 개인위생에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많은 것으로 생각된다고 말했다. 눈다래끼의 증상부터 치료법까지 자세히 알아보자.

◆ 증상

다래끼는 분비샘에 발생하는 염증성 질환으로, 크게 겉다래끼와 속다래끼로 나뉘어진다. 겉다래끼는 초기에는 발적과 소양감(아프고 가려운 느낌)이 있다가 곧 붓고 동통이 생기며, 속다래끼는 겉다래끼보다 깊게 위치하여 초기에는 결절이 만져지지 않다가 점점 진행하며 붓고 동통이 생긴다. 또한 눈꺼풀 가장자리 피부 밑에서 단단한 결절이 만져지는 콩다래끼는 속다래끼와 겉모습은 비슷하나 발적과 통증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 치료법

일반적으로 심하지 않은 경우에는 별 치료 없이도 완치될 수 있다. 그러나 증상이 심해지면 항생제 안약을 넣고 내복약을 복용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수술적 치료로 그 부위를 째고 병변을 긁어내는 시술을 받을 수도 있다.

◆ 예방법

눈다래끼는 보통의 경우 포도구균에 의한 감염에 의해 발생하므로 눈의 위생상태를 청결히 한다면 예방할 수 있다. 특히 눈의 청결을 위해서 손을 잘 닦는 습관과 눈을 잘 비비지 않는 습관을 갖는다면 눈다래끼는 예방이 가능하다. 또 성인의 경우 콩다래끼가 자주 재발하는 경우에는 피지선암과 같은 악성종양을 감별하기 위하여 안과를 방문하여 정확한 진단과 검사를 받는 것이 필요하다.

건강을 위한 첫걸음 하이닥 (www.hido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