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장관 임채민)와 중앙암등록본부(국립암센터, 원장 이진수)는 국가암등록통계사업을 통해 우리나라 국민의 2010년 암발생률, 암생존율, 암유병률 통계를 발표했다.
2010년 일년 동안 암으로 진단받은 암발생자는 202,053명(남 103,014명, 여 99,039명)으로 2009년 194,359명 대비 4.0%, 10년 전인 2000년 101,772명 대비 98.5% 증가했다.
남자는 위암, 대장암, 폐암, 간암, 전립선암 순이었고 여자는 갑상선암, 유방암, 대장암, 위암, 폐암 순으로 ‘09년과 동일했다.
생존율은 지속적으로 향상되어, 최근 5년(2006~2010년) 암환자의 5년 생존율은 64.1%로, 2001~2005년 5년 생존율 53.7% 대비 10.4%p 향상됐다.

2001~2005년 발생 암환자의 10년 생존율은 49.4%로, 1996~2000년 10년 생존율 40.6% 대비 8.8%p 향상됐다.
전국단위 암통계가 처음 집계된 1999년부터 2010년까지 암을 진단받고 2011년 1월 1일 현재 생존하고 있는 암유병자는 총 960,654명으로 암치료를 받고 있거나 암완치 후 생존하고 있는 암경험자수가 약 100만 명에 육박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2010년 신규 암환자수는 남자 103,014명, 여자 99,039명으로 총 202,053명으로 집계되었다.
남녀를 합해 2010년에 가장 많이 발생한 암은 갑상선암이었으며, 다음으로 위암, 대장암, 폐암, 간암, 유방암, 전립선암 순으로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자는 2009년(100,086명)에 비해 암환자수가 2,928명 증가하였는데, 이 중 갑상선암 1,030명(35.2%)과 전립선암 444명(15.2%)이 남자 암발생자수 증가의 50%를 차지했으며, 여자의 경우 2009년(94,273명) 대비 4,766명이 증가, 이 중 갑상선암 2,702명(56.7%)과 유방암 735명(15.4%)이 여성암 증가의 70% 이상을 차지했다.
출처: 건강을 위한 첫걸음 하이닥
(www.hido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