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 드라마나 영화의 범죄 수사물에는 등장인물이 겉보기에는 특별한 이유 없이 발작 증상을 일으켜 이에 대한 원인을 추적하는 장면이 자주 등장한다. 이런 경우 대부분은 해당 인물이 특정한 음식이나 곤충 등에 ‘아나필락시스’를 일으키는 환자로 밝혀지곤 한다.
아나필락시스(anaphylaxis)란 어떠한 물질에 노출되어 과민해진 후 다시 그 물질에 노출될 때 발생하는 면역학적 기전에 의한 급격하고 전신적인 신체 반응을 말한다.
아나필락시스 반응의 증세는 다양하다. 원인 물질이 도입된 경로나 도입 속도(경구, 피부, 주사), 과민한 정도, 도입된 양에 따라 달라지는데, 수분 이내에서 수시간 내에 반응을 보이며 노출 후 대체로 1시간 이내에 발생한다.

가장 흔한 증상은 가려움증, 발적, 홍반, 두드러기 등의 피부 반응으로 심하면 혈관 부종(안면과 입술 등이 붓는 증세)이 생긴다. 눈, 코, 입, 혀의 가려움증과 부종으로 음식을 삼키거나 호흡에 지장을 줄 수도 있다.
더욱 심한 경우 후두, 후두개염과 주변 조직의 부종으로 인하여 상부 기도의 폐색으로 질식을 일으키거나, 하부 기도의 기관지 수축으로 천식처럼 호흡 곤란, 천명, 흉부 압박감을 초래할 수 있다. 피부, 호흡기 증상뿐 아니라 심혈관 허탈과 쇼크 증상이 일어날 수 있다. 어지럼증, 실신, 경기, 의식 혼미, 혼수 등이 올 수 있고 구역, 구토, 심한 복통, 설사가 일어나기도 한다.
모든 알레르기 질환과 같이 아나필락시스 위험 인자가 있는 사람은 원인 물질과 접촉하지 않도록 하고 예방적 조치를 하는 것이 기본이다. 대부분 심한 아나필락시스는 예고 없이 갑자기 발생하므로 신속하게 진단해야 한다.
곤충에 의한 아나필락시스가 있는 환자는 야외에 나갈 때 응급용 에피네프린 주사제를 반드시 지참하여 곤충에 쏘이면 바로 주사한 후 병원에 가도록 한다. 한 번 아나필락시스 반응을 일으킨 병력이 있는 사람은 원인 물질을 분명히 밝혀 다시는 그 물질(항생제, 소염제, 조영제 등)에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며, 진료 시 의사에게 알려 주어야 한다.
또한 아나필락시스가 있는 환자는 자기 자신이 응급 처치용 주사제를 주사할 수 있도록 교육받아야 하며 응급약과 과민성 질환 표시를 항상 몸에 지니고 있어야 한다.
주사를 맞은 후 두드러기, 호흡 곤란, 현기증 등의 증상이 생긴 경우나 두드러기, 호흡 곤란, 어지럼증 등의 증상 중 두 가지 이상의 증상이 생긴 경우 반드시 병원을 찾아 아나필락시스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출처: 건강을 위한 첫걸음 하이닥
(www.hido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