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프로포폴을 불면증, 가벼운 성형 또는 피부과 치료 등에 오·남용하는 사례가 지속해서 발생하고 있어 안전한 사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오·남용과 중독 등을 예방하기 위한 가이드가 나왔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일반 국민이 프로포폴의 위험성과 중독성을 올바르게 인식하고 경각심을 가질 수 있도록 대한의사협회와 협조하여 안전사용가이드인 ‘프로포폴, 이런 점 주의하세요!’를 책자로 발간한다고 밝혔다.
이번 책자의 주요 내용은 ▲프로포폴의 용도 ▲부작용 발생 안내 ▲정신적 의존성이 강한 특성 및 의존자들의 증언 ▲약물중독 예방 상담 및 치료보호 기관 안내 등이다.

프로포폴은 국내에서 ‘11년 2월 마약류의 일종인 향정신성의약품으로 세계 최초로 지정되었으며 정신적 의존성이 강해 의도하지 않게 중독상태를 일으킬 수 있다. 이는 수술 및 진단에 사용하는 전신마취제이므로 불면증이나 불안장애 치료 및 피로회복의 용도로 사용되는 약물이 아니다.
안전역(safety margin, 약물의 안전도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안전역이 클수록 안전성이 높고, 안전역이 작을수록 독성이 나타날 위험이 큼)이 좁은 프로포폴은 호흡기계 이상으로 인한 무호흡 또는 심혈관계 이상으로 인한 저혈압과 같은 치명적인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반복적으로 탐닉하게 되면 주체할 수 없는 갈망이 생기며, 내성으로 투약량이 계속 늘어나고 중독되면 불안, 우울, 충동 공격성 등이 발생한다. 특히 오·남용하는 경우 호흡기능과 심장기능이 저하되어 심하면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프로포폴에 중독되는 경우 치료보호에 드는 비용은 국가에서 전액 지원한다. 오·남용 또는 중독 등의 상담을 원하는 경우에는 전국 12개 한국마약퇴치운동본부를 통해 연락할 수 있으며 치료보호는 전국 19개 병원에서도 가능하다.
식약처는 이번 책자를 통해 국민이 프로포폴에 대한 이해를 높여 오·남용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하며 책자를 전국 250여 개 보건소 등에 배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지난 2월에는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프로포폴의 올바른 사용 안내를 위해 대한의사협회를 지원하여 ‘병·의원에서 진정주사제 사용과 중독 예방 자료’, ‘정맥마취제의 안전한 사용과 프로포폴 중독의 위험성’ 동영상 등이 배포되었다.
출처: 건강을 위한 첫걸음 하이닥
(www.hido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