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종합검진센터
  • 인공신장센터
  • 물리치료센터
  • 투석혈관관리센터
  • 내시경센터
  • 홈
  • 로그인
  • 회원가입
  • 비급여항목안내
  • 사이트맵

사랑과 감동을 드리는 광양사랑병원로고

  • quick
  • 의료진소개
  • 진료과안내
  • 진료시간
  • 층별안내
  • 찾아오시는길
  • 상담하기
  • 대장내시경검사방법동영상
  • 위로

진료시간-광양사랑병원 진료시간안내입니다.

종합검진 진료시간

대표번호-061.797.7000

칼럼

제목

극소저체중아 8년새 3배 급증…민관 프로젝트 가동


출생시 체중이 1.5kg 미만인 극소 저체중아에 대한 집중치료법 개발을 위한 민관 공동프로젝트가 가동된다.

국립보건연구원은 대한신생아학회와 공동으로 출생체중 1.5kg 미만의 극소 저체중아에 대한 연구를 위해 출생 시부터 생후 3년까지를 추적하는 전국적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등록사업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총 5년간 추진예정인 사업으로 초기 3년간 전국적인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향후 이들 조사 자료를 토대로 국내 현황에 근거한 새로운 한국형 신생아집중치료법을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신생아다리
통계청의 출생 통계에 따르면 신생아 사망과 주요 합병증의 중요한 원인이 되는 출생체중 1.5kg 미만의 극소 저체중아는 1993년도 929명에서 2011년도 현재 2,935명으로 3배 이상 급격히 증가해 이에 대한 국가적인 대처가 시급한 상황이다.

극소 저체중아의 경우 패혈증 등 여러 중증합병증을 동반해 신생아 사망률을 높일 뿐 아니라 성장발달장애 등 심각한 후유증을 동반해,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

우리나라는 선진국에 비해 다소 늦은 2000년대부터 신생아 집중치료를 본격적으로 시작했으며, 일부 병원에서 극소저출생체중아의 생존율 83%, 초극소저출생체중아(1kg 미만)의 생존율 60%를 보고하고 있으나 전국적 진료 수준은 여전히 미국, 일본 등의 선진국에 밑돌고 있다.

이번 연구를 통해 향후 우리의 실정에 가장 적합한 새로운 한국형 신생아집중치료법 개발을 가능하게 하며, 또한 개발된 치료법을 실제 환자 치료에 적용함으로써 우리나라 극소 저체중아의 생존율 향상과 주요 합병증 감소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미국은 1991년부터 매년 극소저체중 출생아의 생존율을 다기관의 네트워크 결과로 매년 발표해 극소 저체중아의 생존율이 10년간 82%에서 85%로 향상된 바 있으며, 일본은 2003년 극소저체중 출생아의 생존율이 89%에 달했다.

국립보건연구원의 조명찬 원장은 “본 극소 저체중아 연구 네트워크 구축 및 등록 사업이 성공적으로 잘 수행되면 국가 보건통계 자료와 예방관리대책 수립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궁극적으로 고위험 신생아의 생존율 향상과 주요 합병증 감소를 통한 삶의 질 향상과 사회경제적인 부담 감소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출처: 건강을 위한 첫걸음 하이닥(www.hido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