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건강보험공단이 지난 5년간(2009~2013년) ‘약시(h53.0)’로 인한 진료환자를 분석한 결과 시력이 발달하는 시기에 치료하면 예후가 좋지만, 방치하면 정상시력으로 복귀가 어렵다고 발표했다.
약시는 각막, 수정체 등의 매체나 망막, 시신경 등은 정상이지만, 시력이 나쁘고 안경으로 교정한 시력이 0.8 이하이거나, 일반적으로 양 눈의 시력 차가 시력표의 2줄 이상이 될 때 시력이 안 나오는 쪽을 약시라고 한다. 소아에서 약시의 진단이 중요한 이유는 적절한 시기에 치료하면 회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약시로 인한 건강보험 진료 인원이 2009년 20,220명에서 2013년 21,771명으로 증가했다. 2013년 기준 인구 100만 명당 436명이 진료를 받았으며, 성별로는 여성이 446명, 남성이 425명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조금 많았으나 큰 차이는 없었다. 연령별로는 5~9세가 5,089명으로 가장 많았고, 진료 인원이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한 연령대는 4세 이하로 인구 100만 명당 연평균 14.3%씩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안과 김혜영 교수는 “5~9세 약시 진료환자가 가장 많은 이유는 4세 이하의 소아보다 정확한 검사가 가능하고, 지속해서 만 8세 전후까지 약시 치료 및 관리가 필요하기 때문”이라고 말하며, “시력발달이 완성되는 평균 만 8세 이전에 약시인 것을 몰라 치료받지 못했거나, 알고 있음에도 방치하면 시력이 충분히 발달하지 않은 상태로 멈추어 평생 시력저하상태로 살아야 하므로 특별한 이상이 없더라도 만 3~4세경에는 안과 검진을 받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라고 말했다. 또한, “약시가 4세 이하에서 가장 크게 증가한 이유는 조기진단의 영향으로, 요즘 매스컴에서 소아의 안과 검진이 중요함을 자주 다루고 있고, 특히 영유아검진에서 시력검사를 하여 시력이 나쁜 경우 조기에 안과 검진을 받도록 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김혜영 교수는 약시의 원인 및 증상, 치료 및 예방법 등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 약시의 발병원인양안에 굴절상태의 차이가 있는 굴절부등이나 사시가 있는 경우, 굴절이상이 심한 눈이나 사시안에 한 눈 약시가 발생한다. 또는 양안에 심한 굴절이상이 있는 경우에는 두 눈 약시가 발생한다. 눈꺼풀 처짐이 있거나 백내장 등의 질환이 있어 한 눈의 시 자극이 차단될 때도 약시가 발생한다.
▲ 약시 예방 및 치료법예방법 =시력 발달은 평균 만 8세 전후에 완성되는데, 시력발달이 완성된 이후에는 약시를 더는 치료할 수 없어 시력 저하는 평생 지속한다. 특히 한 눈의 약시를 가진 소아는 반대편 좋은 눈을 사용하기 때문에 일상생활에 전혀 지장이 없어 치료 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종종 있다. 따라서 특별한 이상이 없더라도 만 3~4세경에는 안과 검진을 받아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치료법 =굴절이상이 있는 경우 안경을 착용하는 것이 약시치료의 기본이다. 단안 약시는 그 눈을 사용하지 않아 발생한 것이므로 강제로 사용하도록 좋은 눈을 가리는 가림치료가 가장 효과적이며, 가림치료에는 보호자의 정확한 이해와 협조가 필수적이다. 가림치료를 할 수 없는 경우, 좋은 눈에 조절마비안약을 점안하여 가까운 거리를 주시할 때는 약시안을 사용하도록 하는 방법도 있다.
약시는 시력이 발달하는 시기에 적절한 치료를 하면 정상시력을 회복할 수 있지만,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시력이 충분히 발달하지 않은 상태로 멈추어 평생 시력저하 상태로 살아가야 한다.
출처: 건강을 위한 첫걸음 하이닥
(www.hido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