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래가 차서 뱉었더니 피가 섞여 나왔을 때, 누구나 놀라고 불안한 마음을 갖게 된다. 가래에 피가 섞여 나오는 경우를 혈담이라고 하고, 혈액이 많은 경우에는 객혈이라고 한다.
가래는 끈적끈적한 기관지 점액으로 95%는 수분, 5%는 단백질, 지질이나 무기질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가래의 점도는 수분이 적을수록 높아진다. 정상적인 기관지 점액은 기관지 표면을 살짝 덮어 항상 촉촉하게 유지함으로써 기관지를 보호하고, 면역 물질을 포함하여 병원균을 물리치는 역할을 한다.
이런 가래가 비정상적인 상태로 많이 생성되면 우선 기관지 안에서 이물감이 느껴져 기침을 자주 하게 되고, 가래가 너무 많아져서 기관지를 막게 되면 고열과 가슴 통증, 호흡 곤란이 생기게 된다.

가래에 피가 섞여 나오는 것은 원인 질환에 따른 것일 가능성이 높다. 또, 세균에 감염되었을 때는 가래 색깔이 진해져 누렇게 변하거나 초록에 가까운 색을 띠기도 한다.
일시적으로 가래에 피가 섞여 나오는 증상은 기관지염증이 이나 후두염 등에서도 발생할 수 있으나 재발되는 경우에는 결핵, 폐암, 기관지 확장증, 폐렴, 혈관의 문제 등 다양하고 심각한 질환이 동반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병원을 찾아 흉부 방사선 촬영과 객담 검사 등 기본적인 검사를 받아야 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흉부 ct 촬영이나 기관지 내시경 검사와 같은 정밀검사가 필요할 수도 있다. 피가 섞여 나오는 경우 외에도 아래와 같은 증상이 있다면 의사의 진찰이 필수적이다.
- 가래가 갑자기 많이 나올 때
- 가래가 끓으면서 호흡 곤란을 느낄 때
- 가래가 끓으면서 고열이 날 때
- 가래가 진해지고 색깔이 누렇게나 푸르스름하게 변할 때
- 가래에서 이상한 악취가 느껴질 때
출처: 건강이 궁금할 땐, 하이닥
(www.hido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