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핵 환자는 과거에 비해 많이 감소했지만 결핵은 여전히 가장 심각한 전염병이다. 특히 우리나라는 oecd 참여 국가 중 가장 높은 결핵 발생률을 보이는 불명예를 안고 있다. 결핵은 전염병이지만 전염과 발병 양식이 복잡하고 치료 또한 어려운 부분이 많다.
결핵과 폐결핵은 같은 말결핵은 결핵균(mycobacterium tuberculosis)이라는 세균에 의해서 발생하는 전염병이니다. 결핵균은 다른 세균들과는 달리 자연계에서는 살 수 없고 사람의 몸 속에서만 살 수 있기 때문에 결핵 환자만 결핵균을 전염시킬 수 있다.
결핵은 대부분 폐에서 생기고 폐결핵 환자가 결핵균을 전염시키므로 폐결핵을 결핵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렇지만 결핵은 우리 몸 어디서나 발생할 수 있어서 림프절에서 발생하면 림프절결핵, 척추에서 발생하면 척추결핵이라고 부른다. 이와 같이 폐 이외의 장기에서 발생한 결핵을 ‘폐외결핵’이라고 한다.
결핵환자의 가족인데 결핵균에 감염되지 않을 수도 있을까결핵균의 전염은 결핵 환자가 기침할 때 공기 중으로 배출되는 결핵균을 주위 사람이 숨을 들이마실 때 기도를 통하여 폐로 들어가면서 발생한다. 폐로 들어온 결핵균은 1차 방어기전인 선천면역에 의해서 제거되거나 선천 면역을 극복하고 폐 속에서 증식할 수 있다.
결핵균이 선천면역을 극복하고 증식하면 강력한 이차 방어기전인 세포매개성 면역반응이 발생하여 결핵균을 억제하게 된다. 결핵균에 대한 세포매개성 면역반응이 발생할 때 형성된 면역세포는 평생 동안 혈액 속에 남아 있기 때문에 이를 확인함으로써 결핵감염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결핵균이 폐로 들어오더라도 선천면역에 의해 결핵균이 제거되었을 경우 결핵감염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결핵균이 폐로 들어오지 않은 경우와 폐로 들어 왔더라도 선천면역에 의해 결핵균이 제거되었을 경우 모두 결핵감염검사 음성을 보인다.
따라서 결핵환자와 가까이 지내더라도 결핵감염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으며(결핵감염검사 음성) 결핵환자의 가족 중에서 절반 정도에서만 결핵감염검사에서 양성을 보인다.
아무 증상이 없는데 결핵일 수 있을까기침 결핵의 증상은 아주 다양하다. 기침, 가래, 미열, 기운이 없는 증상 등이 있을 수 있고 아무런 증상이 없을 수도 있다. 건강검진에서 시행한 흉부방사선 사진에서 우연히 결핵이 발견되기도 한다.
결핵의 가장 흔한 증상인 기침은 감기, 천식, 기관지염 등에서도 관찰되므로 증상만으로 결핵과 이들 질환들을 구별하기가 어렵다. 결핵은 감기나 기관지염처럼 흔한 질환이 아니기 때문에 결핵이 발생하여 기침을 할 경우에도 대부분 감기로 생각하고 감기약을 복용하면서 지내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감기 증상은 1주 정도 지나면 대부분 호전되므로 특별한 원인 없이 기침, 가래가 2 주 이상 지속되면 결핵의 가능성을 의심하고 의사의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 또 결핵환자와 가까이 지냈던 사람들의 경우 아무런 증상이 없어도 결핵에 걸렸을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으므로 접촉자 검진을 받아보는 것이 좋다.
결핵약을 2~3개월 복용하다가 중단하면 어떻게 될까결핵약은 최소한 6개월 결핵균은 특징적으로 아주 서서히 자라고 약제내성이 잘 발생한다. 그러므로 한 두가지 약으로 치료하면 약제내성이 발생할 위험성이 크므로 4가지 결핵약을 동시에 복용함으로써 약제내성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한다.
2-3개월만 결핵약을 복용하다가 중단하면 대부분의 결핵균은 죽지만 아주 서서히 자라는 소수의 결핵균이 죽지 않고 다시 증식하여서 어느 정도 기간이 지나면 다지 재발하게 된다. 또한 결핵균이 기존에 쓰던 결핵약에 내성이 발생할 위험성이 증가하여 다제내성 결핵이 될 가능성이 매우 크다.
결핵을 처음 진단받고 치료할 경우 6개월만 결핵약을 복용하면 대부분 완치가 되지만 다제내성 결핵은 치료가 매우 어려워서 주사약을 포함하여 2년 이상 치료하더라도 치료에 실패할 위험이 있다. 결
결핵약을 1-2개월 복용하면 대부분의 결핵균이 죽고 기침, 가래와 같은 증상이 호전되어 완치된 것으로 생각하고 결핵약의 복용을 중단하고 싶은 유혹을 받을 수 있지만, 이는 매우 위험한 생각리다. 결핵치료를 처음 시작할 때 무조건 6개월 이상 복용하여 아주 서서히 자라는 결핵균들까지 모두 살균하여 완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자료 = 질병관리본부>
출처: 건강이 궁금할 땐, 하이닥
(www.hido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