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술ㆍ담배와 이별해야 몸이 행복!
유유상종이라는 말과 걸맞게(?) 술자리에서는 흔히 '담배' 연기가 자욱하기 마련이다. 사실 술이 있는 자리는 제한적으로 정해져 있는 반면 담배는 금연지역만 아니라면 어디든지 활보할 수 있으니 술자리에 담배가 함께 하는 것이 뭐 다를 바 있겠냐고 반문할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담배가 특히 술과 함께할 때는 그 유해성이 2배 더 상승한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술자리에 피어나는 담배연기는 취기와 함께 오르는 즐거움이 아니라 건강을 더욱 해칠 수 있다는 뜻이다.
금주 중인 알코올 중독 환자, 흡연여부에 따라 회복력 달라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의 디터 마이어호프 박사(dr. dieter meyerhoff)는 현재 금주 중인 알코올중독 환자들의 뇌 활성과 흡연과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를 한 달 동안 조사하여 발표했다.
알코올 중독의 회복기에 있는 알코올중독 환자 25명을 흡연자 14명과 비흡연자 11명의 두 그룹으로 나누어 자기공명영상장치(mri)로 촬영한 결과 한 달 사이에 비흡연자 그룹의 뇌 기능은 뚜렷한 개선을 보인 반면 흡연자 그룹의 뇌 기능은 처음에 비해 크게 나아지지 않았다.
비흡연자 그룹의 뇌는 여러 가지 인지능력 특히 학습력과 기억력, 주의력, 집중력, 사고 속도 등에서 뚜렷한 개선을 보인 반면 흡연자 그룹의 뇌에서는 여러 인지능력들의 회복 속도가 느렸을 뿐만 아니라 운동조정능력과 감각수용능력을 관장하는 부분의 기능은 처음보다 오히려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흡연이 뇌의 여러 가지 능력에 나쁜 영향을 주어 알코올 중독으로부터 회복되는 것을 방해한다는 것을 암시하는 내용이다.
이에 디터 마이어호프 교수는 진행된 연구에서 비교그룹의 규모가 작고, 아직 초기 단계여서 흡연이 어떻게 알코올 중독에 영향을 끼치는지를 규명하기에는 이른 감이 있지만 알코올 중독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흡연을 중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니코틴은 알코올을 타고 더 빠른 속도로 나쁜 영향 끼쳐
니코틴은 알코올에 쉽게 용해된다. 지용성 물질인 담배의 니코틴은 유기 용매인 알코올에 의해 더 잘 용해되어 우리 몸에 더 빨리 쉽게 녹아 들어가게 되기 때문에 술을 마시면서 담배를 피우면 숨이 가빠지고 더 빨리 취하게 된다.
이렇게 니코틴은 알코올과 함께 몸에 흡수되는 경우 더 쉽게 인체에 영향을 끼치게 되고 특히 뇌에 손상을 줄 가능성이 커진다.
또한 담배의 니코틴뿐만 아니라 일산화탄소 등 각종 유해물질이 알코올과 함께 간에 부담을 주어 간 건강을 해칠 수도 있다.
한편, 음주와 흡연을 동시에 하는 경우 복부비만도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3.3%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다른 보고서(유럽 암, 영양학회 epic)에서는 식도암 발병률이 하루 포도주 1병 이상을 마시면 9배 높아지고, 하루 1갑 이상의 담배를 피우면 8배 증가하며, 하루에 포도주 1병 이상을 마시고 하루 1갑 이상의 담배를 피게 되면 음주와 흡연의 상승작용으로 인해 식도암에 걸릴 확률이 50배 이상 높아진다고 밝히기도 했다.
음주와 흡연의 상승작용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흡연과 음주를 동시에 하면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구강암의 발병률이 15배 이상으로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네브라스카대학의 낸시 베트 박사가 주도한 흡연과 과음의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에서는 과음을 하면서 흡연을 함께 할 경우 가장 뚜렷하게 나타난 현상은 암이나 각종 심혈관 질환의 발생이 크게 촉진된다는 것이며, 중요한 영양 섭취의 불균형도 초래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한 바 있다.
애주가와 애연가가 일치하는 경향이 있다는 말처럼 음주와 흡연은 함께 하는 경향이 있으며, 서로가 서로를 이끄는 미묘한 관계에 있다. 즉 술을 먹으면 담배 생각이 나고, 담배를 피면 술이 생각나게 된다는 것.
따라서 동시에 둘 다 포기할 수 있다면, 금연과 금주를 동시에 시작할 수 있다면 그 성공률을 더욱 높일 수 있으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두 개 모두 실패할 가능성이 커진다.
출처: 건강을 위한 첫걸음 하이닥 (www.hido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