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감기 달고 사는 아기, 치료법은?
과거에 환절기에만 걸리던 감기가 요즘은 아이들에게 1년 내내 떨어지지 않는 친구와 같은 질병이 됐다. 감기는 바이러스가 코, 부비강, 아데노이드, 인두, 편도 등 상기도에 침입해서 일어나는 급성 바이러스성 질환이다. 감염 부위에 따라 감기를 상기도염, 급성 바이러스성 비염, 급성 바이러스성 비인두염, 또는 급성 바이러스성 인두편도염 등의 다른 병명으로 부르기도 한다.
감기에 더 잘 걸리는 조건이 있다?
의학적으로 확실하게 증명할 수는 없지만 감기에 더 잘 걸릴 수 있는 조건들이 있다. 특히, 기관지천식, 습진 등 알레르기 질환을 가진 아이들이나 알레르기성 체질을 가진 아이들이 감기에 더 잘 걸릴 수 있고, 추운 계절에 얇게 옷을 입거나, 습기 찬 곳에 오랫동안 있을 때, 비를 맞은 후에도 감기에 걸리기 쉽다. 또한 쇠약하거나 영양 상태가 나쁜 아이들이 감기에 걸리기 쉽고, 세균성 합병증을 앓을 가능성 또한 높다.
신생아 감기는 악화되기 쉬워 세심한 관리 필요
신생아들은 외부와 접촉 기회가 적고, 감기를 일으킬 수 있는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체를 엄마로부터 얻어 태어나기 때문에 감기에 잘 걸리지 않다. 그러나 감기에 걸리면 신생아기 이후의 영유아들이나 큰 아이들 보다 더 심하게 앓을 수 있으며, 중이염이나 축농증 등 세균성 합병증으로 악화되기도 더 쉽다.
치료는 증상에 따라 달라
아이의 병력, 증상, 진찰소견을 종합하면 비교적 쉽게 진단할 수 있다. 그러나 독감을 비롯한 다른 바이러스성 질환이나 a군 연구균성 인두염, 편도염 등과 감별 진단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여러 가지 검사가 필요한 경우도 있다. 아직까지 감기를 완벽하게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는 특효 약은 없다.
또한 항생제도 감기 자체의 치료에는 아무런 효력이 없으며, 남용하면 오히려 해로울 수 있다. 따라서 감기를 앓을 때는 나타나는 증상에 따른 치료를 하며, 육체적 과로를 피하고 정신적 안정을 취하게 해야 한다. 그러나 감기가 다 나을 때까지 누워 있도록 권장하는 것은 아니다. 집안에서의 일상적인 생활(텔레비전을 보거나 책을 읽는 등)을 하면서 쉬는 정도는 괜찮다. 감기가 다 나을 때까지 추운 겨울철에는 밖에서 뛰어 놀지 않도록 하고, 무리하게 운동을 시켜서도 안 된다.
감기를 앓을 때는 며칠 동안 식욕이 떨어져 잘 먹지 못할 수 있다. 이 때 아이에게 음식을 강제로 먹이면 구토를 할 수 있으므로, 억지로 먹여서는 안 된다. 대신 과일즙, 보리차, 고기국물 등 유동 음식이나 소화가 잘 되는 음식을 조금씩 자주 먹이다가 식욕이 좋아질 때 보통 때 먹던 음식으로 서서히 바꿔 주어야 한다. 특히 수분을 충분히 주어서 탈수를 방지해 주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실내가 건조하면 아이의 호흡이 힘들어 질 수 있으므로 적절한 실내 습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출처: 건강을 위한 첫걸음 하이닥 (www.hido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