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종합검진센터
  • 인공신장센터
  • 물리치료센터
  • 투석혈관관리센터
  • 내시경센터
  • 홈
  • 로그인
  • 회원가입
  • 비급여항목안내
  • 사이트맵

사랑과 감동을 드리는 광양사랑병원로고

  • quick
  • 의료진소개
  • 진료과안내
  • 진료시간
  • 층별안내
  • 찾아오시는길
  • 상담하기
  • 대장내시경검사방법동영상
  • 위로

진료시간-광양사랑병원 진료시간안내입니다.

종합검진 진료시간

대표번호-061.797.7000

칼럼

제목

플라스틱 가소제, 프탈레이트류 ‘안전 수준’

우리나라 국민은 프탈레이트류에 안전한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이하 식약청)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은 우리나라 국민을 대상으로 프탈레이트류 인체 노출량을 평가한 결과, 전 연령대에 걸쳐 안전한 수준으로 식품 등(건강기능식품, 한약제제)을 통한 노출량도 매우 적다고 밝혔다.

‘프탈레이트’는 pvc 플라스틱 가소제로서 공업용 및 생활용품 등에 사용되고 있으며 동물의 생식기 기형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디에칠헥실프탈레이트(dehp), 다이부틸프탈레이트(dbp), 벤질부틸프탈레이(bbp), 디에틸헥실아디페이트(deha) 등의 종류가 있다.

단단한 플라스틱 보다 부드러운 플라스틱에 함유되어있는 경우가 많은 프탈레이트는 지속적으로 노출될 경우 남성의 경우 정자수 감소·전립선암, 여성의 경우 생리통·유방암·자궁암 등을 일으키는 유해물질이다.

수락하는남자이번 조사는 지난해 우리나라 전 연령대(0~83세)의 국민 2,491명을 대상으로 뇨(소변) 중 프탈레이트(dehp) 대사체 농도를 측정하여 인체 노출량을 환산하고, 조사 대상자가 섭취 중인 식품, 건강기능식품 및 한약제제의 프탈레이트 함유량 분석을 통해 기여도를 분석했다.

우리나라 국민의 프탈레이트(dehp) 평균 일일노출량은 10.1㎍/kgbw/day로 인체노출허용량(tdi, 50㎍/kgbw/day)의 5분의 1 수준으로 매우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성인(만19-83세, 6.3㎍/kgbw/day)에 비해 영유아(만0-3세, 15.8㎍/kgbw/day)와 아동 및 청소년(만4-18세, 12.5㎍/kgbw/day)의 dehp 노출량이 상대적으로 많았으나, 이 역시 인체노출허용량(tdi)의 각 31.7%, 25.1%, 12.6%로 안전한 수준이었다. 특히, 성인의 dehp 노출량은 2010년(16㎍/kgbw/day)의 40%에 불과한 6.3㎍/kgbw/day로 2년 전보다 크게 감소했다.

또한, 조사 대상자의 식생활조사에서 확인된 식품(41개 품목, 676 건), 한약제제,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프탈레이트류 함유 정도를 조사한 결과, 주로 dehp가 검출되었으며 그 외 프탈레이트류(dbp, bbp, deha)는 검출되지 않거나 매우 미미한 수준으로 검출됐다

식품, 한약제제, 건강기능식품을 통한 dehp 노출량은 인체노출량 대비 각각 8.6%, 0.03%, 0.003% 수준으로 식품 등 섭취를 통한 프탈레이트류 노출기여도는 매우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식약청은 “이번 연구결과를 통해, 식품 섭취를 통한 프탈레이트 노출 우려에 대한 국민 불안감을 해소하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 프탈레이트류와 같이 다양한 노출경로를 지닌 유해물질에 대해서도 노출평가를 수행해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출처: 건강을 위한 첫걸음 하이닥(www.hido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