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카락 단면의 40분의 1이하 크기로 인체에 걸러지지 않고 폐 속까지 침투하는 미세먼지가 노인층의 건강을 크게 위협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가천의대 최윤형 교수와 서울의대 홍윤철 교수팀은 서울에 사는 60세 이상 남성 132명과 여성 370명을 대상으로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 노출과 인슐린 저항성 수치를 3년간 관찰한 결과, pah 환경 노출이 노인, 특히 과체중인 노년 여성의 인슐린 저항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23일 밝혔다.
미세먼지의 주성분 중 하나인 pah의 주요 노출 경로로는 자동차배기가스, 난방에 의한 배출 가스, 간접 흡연, 요리시 배출되는 연기, 탄 음식 섭취, 중국발 미세먼지 등이 꼽힌다.

특히 pah 노출에 의한 인슐린 저항성 증가는 과체중의 노년 여성에게 뚜렷하게 나타났다. pah에 노출되면 체내 산화스트레스 수치가 높아지고, 이는 곧 인슐린 저항성을 높이며 pah 노출이 체내에서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처럼 활동해 부분적으로 인슐린 저항성을 높일 수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인슐린 저항성은 혈당을 낮추는 인슐린의 기능이 떨어져 세포가 포도당을 효과적으로 연소하지 못하는 것으로 인슐린 저항성이 높으면 인체는 혈당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지 못해 대사증후군은 물론 심장병, 당뇨병 등까지 초래할 수 있다.
이번 연구결과는 공중보건분야 학술지 2월 10일자에 게재됐다.

출처: 건강을 위한 첫걸음 하이닥
(www.hido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