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사람들은 남 일에 대해 이러쿵 저러쿵 떠드는 ‘가십(gossip)’이 사람들의 평판에 누를 끼치는 쓸데없는 잡담이라고 치부한다. 그렇지만 한편으론 스트레스를 줄이고, 나쁜 행동을 비판하며, 부당하게 이용당하는 것을 막는 등 장점도 있다는 연구가 발표됐다.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학(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연구팀은 수 백 명의 지원자를 대상으로 몇 가지 실험을 실시했다. 실험 참가자들은 두 연기자가 등장하는 신용거래에 관한 게임을 지켜보았는데, 한 명은 사기꾼, 한 명은 정직한 역할을 했다. 연구팀은 이 게임을 보는 참가자들의 심장 박동을 기록했다.
게임 중 참가들에게 쪽지를 보낼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자, 대부분 참가자들은 정직한 사람에게 쪽지를 보내기 위해 돈을 쓰는 희생을 감수하면서까지 상대방의 속임수를 경고하기 위해 노력했다. 이때 심장 박동을 분석한 결과, 누군가가 잘못한 것을 목격했을 땐 심박수가 갑자기 빨라졌다가 목격한 것을 남들에게 전해주면 심박수가 다시 정상으로 되돌아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연구팀은 이와 같은 실험 결과로 볼 때 가십은 일종의 치료제가 될 수 있으며, 나쁜 행동을 경고해 주기 위해 누군가를 촉구하는 힘은 매우 강력하다고 말했다. 연구 공동 저자이자 사회 심리학자인 로브 윌러(robb willer) 교수는 “가십은 사회적으로 비난 받는다. 하지만 우리는 이 가십이 사회질서 유지에 비평적 역할을 한다는 증거를 찾았다”고 전하며 “잘못된 일을 한 사람의 이야기를 퍼뜨리는 것은 기분을 나아지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불안도 잠재운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는 다른 사람의 공정치 않은 행동을 밝히는 것에 대해 죄책감을 느낄 필요가 없음을 시사하며, 특히 이용당하는 사람을 구제하는 경우는 더욱 그렇다고 결론지었다.
그러나 모든 가십이 이타적이라고 할 순 없다. 유명인들의 루머를 조장하는 것과 같은 가십은 다른 사람에게 별 도움이 안 되기 때문이다.
연구는 ‘성격 및 사회 심리학(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저널에 게재됐으며 미국 헬스데이(healthday), abc뉴스 등이 1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출처: 건강을 위한 첫걸음 하이닥
(www.hido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