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귀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들이 복용하는 희귀의약품에대한 연구·개발이 확대되어 희귀질환자들에게 원활한 의약품 공급이 이루어질 전망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은 희귀의약품 지정에 대한 규정’을 2월 28일 일부 개정한다고 밝혔다. 이번 개정은 지속적인 투자·연구개발이 필요한 희귀의약품의 개발을 활성화하고, 지정 한도액을 상향하는 등 희귀의약품 지정제도 개선을 위해 마련됐다.
희귀의약품은 국내 유병인구가 2만명 이하인 질병에 사용하거나, 연간 총 생산(수입)실적이 15억원(150만불)이하인 의약품을 말한다.
이번 개정의 주요 내용은 ▲개발 초기부터 ‘개발단계 희귀의약품’ 지정 ▲지정 갱신을 위해 별도 생산(수입)실적 보고 폐지 ▲위탁제조판매업자의 희귀의약품 지정 신청 ▲유병인구 500명 이하인 경우 지정한도 금액 상향 등이다.

그간 희귀의약품 개발은 장기간 많은 투자가 필요하고, 개발 후 최종 허가여부에 대한 예측의 어려움 등으로 개발이 기피되었으나, ‘개발단계 희귀의약품’ 지정을 통해 개발단계부터 지원할 수 있게 됐다.
희귀의약품 제조(수입)자는 그간 희귀의약품 지정 갱신을 위해 연간 의약품 생산(수입)실적 보고 외에 희귀의약품을 별도로 보고하도록 했으나, 이번 개정에서 이중 규제를 폐지하여 이후에는 별도 보고를 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의약품위탁제조판매업자도 희귀의약품 지정을 신청할 수 있도록 하여 희귀의약품 지정 기회를 확대했다.
유병인구 500명 이하인 질환에 대해 희귀의약품 지정한도 금액을 현행 15억원(150만 달러)에서 50억원(500만 달러)으로 상향하여 원활한 희귀의약품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식약청 관계자는 “이번 개정을 통해 희귀의약품에 대한 연구·개발이 더욱 확대 될 것으로 기대하며, 향후에도 희귀질환 환자들에게 원활하게 희귀의약품이 공급되도록 지원 정책을 추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출처: 건강을 위한 첫걸음 하이닥
(www.hido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