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을 충분히 깊게, 많이 자지 못하는 ‘수면장애’ 환자가 최근 크게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최근 5년(2008~2012년)간 수면장애로 진료를 받은 환자의 수는 2008년 22만 8천 명 보다 12만 9천 명(1.57배) 늘어난 35만 7천 명으로 연평균 11.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여성(21만 2천 명)이 남성(14만 5천 명)에 비해 1.46배 많았고, 연령별로는 50대가 7만 5천 명(21.0%)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70대(19.1%)·60대(17.2%)·40대(15.2%) 등의 순으로 전반적으로 중고령층이 수면장애를 많이 호소했다.
성·연령대별로 자세히 살펴보면 남성에서는 70대(3만 명, 20.6%), 50대(2만 8천 명, 19.3%), 60대(2만 5천 명, 17.5%) 순으로, 여성에서는 50대(4만 7천 명, 22.1%), 70대(3만 8천 명, 18.0%), 60대(3만 6천 명, 17.0%) 순으로 진료환자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적 비중은 작지만 20대 2만 1864명(6.1%), 10대 이하 5140명(1.4%) 등 젊은 환자들도 제대로 잠을 자지 못해 병원을 찾았다. 수면장애를 보다 세부적으로 보면, 쉽게 잠들지 못하거나 자주 깨는 불면증 환자가 23만 7931명(66.7%)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정확한 원인을 알 수 없는 상세불명 수면장애(8만 4287명), 수면 중 상기도가 막히는 수면성 무호흡(2만 6168명) 등이 뒤를 이었다.
불면증은 주로 50~70대에서, 수면성 무호흡은 30~50대에서 흔했다. 수면-각성 주기 혼란으로 갑자기 참을 수 없는 졸음, 웃거나 화낼 때 일시적으로 근육 힘이 빠지는 허탈 발작, 잠들거나 깰 때 보이는 환각 등을 겪는 과다수면증이나 기면증의 경우 비교적 젊은 10~30대 환자가 많았다.
신수정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신경과 교수는 “비만 인구의 증가, 급격한 환경의 변화, 스트레스 증가, 현대인의 과도한 업무에 따른 수면습관의 변화, 나쁜 수면위생 등이 수면장애의 일차원적인 원인”이며 “노년기에 이르면 뇌의 대사와 구조에 변화가 생겨 수면 리듬도 바뀌고, 이 때문에 수면 장애를 겪게 된다”고 설명했다.
또한 “규칙적 생활과 식습관, 적당한 운동, 금연, 금주 등으로 수면 장애를 예방할 수 있다”며 “특히 낮잠을 30분 이상 자지 않고, 잠자리에 들기 전 4~6시간 사이에는 커피·녹차 등 카페인 음료를 자제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출처: 건강을 위한 첫걸음 하이닥
(www.hidoc.co.kr)